던전 크롤/잡동사니
1. 개요
- 이 문서는 DCSS 영문 위키를 참고해서 작성되었다.
똑같이 발동술 스킬을 기반으로 삼지만, 잡동사니라는 카테고리에 걸맞게 효과는 아이템마다 전부 제각각이다. 특이한 몬스터를 소환하거나, 원소 대미지를 주거나, 홍수를 일으키거나, 적을 밀쳐내는 등등. 이 때 발동 위력은 발동술 레벨에 따라 결정된다.
충전식 잡동사니들은 발동술 레벨이 증가할 수록 재충전 속도가 빨라진다. 발동술 레벨이 27일 경우, 0일 때에 비해 대략 66% 빠르게 충전된다.
2. 종류
ABC 순서대로 정렬한다.
2.1. 짐승 상자
소환하는 뮤턴트 짐승(Mutant Beast)의 HD는 발동술 스킬 레벨에 비례한다[1] . 최대 충전량은 1이다.당신은 뚜껑을 열었다…
…태고의 기이한 화염의 야수가 뛰쳐나왔다!
뮤턴트 짐승은 다음 중 두 가지 특징이 혼합된 채 나온다 :
- 박쥐 (비행, 빠름, 박쥐batty)
- 벌 (리치, 약한 독, 독저항)
- 불 (화염 숨결, 불 저항)
- 기이 (조이기 공격, 투명 보기)
- 쇼크 (전기 저항, blinkbolt[2] )
- 황소 (짓밟기 공격, rC, AC+5)
발동술 레벨이 높아지면 확정적으로 primal급 몬스터가 튀어나온다. 이 primal 뮤턴트들은 HD가 27이라 어지간한 몹은 순식간에 녹여버리며 판데나 지옥 보스전에서도 높은 딜을 넣는다. 의외로 굉장한 꿀템. 항상 우호적으로 나타난다는 것도 좋은 장점이다.
네임드 뮤턴트 비스트로 시고트비의 괴물(Cigotuvi's Monster)가 있다. 마법사의 연구소 중 한 패턴인 시고트비의 생체실험실(Cigotuvi's Fleshworks)에 고정적으로 출현하며, 체력이 250으로 높고 대단히 강하다.
- 0.9 버전 이전에는 미감정 상태에서 ‘작은 흑단목 함’이라 표시되어있다. 전부 사용하면 '텅빈 흑단목 상자'로 변경된다.
- 0.13 버전 이전에는 키메라가 아닌 몬스터를 소환했다.
- 0.16 버전에서 위력이 확 버프를 받았다.
- 0.17 버전 이전에는 키메라를 소환했다.
- 0.26 버전에서 충전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33% 확률로 파괴되는 스택방식이었다.
2.2. 번개의 마법막대
작동 방식이 여러모로 특이하다. 처음 발동하면 단순히 짧은 일직선 번개 공격을 하지만, 다음 턴에 발동하면 1차 발사 궤적과 2차 발사 궤적을 잇는 범위에[3] 광역으로 번개가 방전된다.
이펙트 하나만큼은 궁극마법도 씹어먹는 포스. 단, 효과 범위를 넓힐수록 대미지는 줄어든다.
고정된 4회의 차지를 가지며 '''광역으로 공격할수록 개별 적에게 주는 대미지가 낮아진다'''. 남은 차지 수가 적을수록 대미지가 높다. 무조건 '''필중'''한다. 최대로 줄 수 있는 대미지는 발동술 27레벨 기준 차지가 1/4 남았을 때 단일 타깃에게 대미지를 주는 경우로, 이 경우엔 5d15의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좁은 범위에 사용하면 적은 타겟에게 높은 피해를, 넓은 범위에 사용하면 많은 타겟에게 중간 정도 대미지를 줄 수 있다. 못생긴 것이나 슬라임처럼 무리지어 나오는 적을 정리하는 데 유용하다. 초반엔 전기 저항을 가진 적들이 손에 꼽을 정도라 광역 섬멸력이 대단하다. 그러나 후반엔 마법막대 고유의 주문력 제한 문제 때문에 위력이 애매하다. 번개 볼트와 유사하나, 벽 반사는 할 수 없으므로 주의할 것.
0.11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0.20에서 로드 메커니즘이 삭제되면서 고정된 4회 충전을 갖고 경험치에 따라 충전되도록 수정되었다.
2.3. 게리욘의 뿔나팔
고정 아티팩트면서 잡동사니 분류에 속하는 아이템이다. 자세한 사항은 고정 아티팩트 항목 참조.
2.4. 지구라트 모형
지구라트 모형은 모든 지구라트 27층이나 무덤 3층에서만 획득할 수 있다. 0.18 버전부터 지구라트 포탈은 더 이상 판데모니엄에서 생성되지 않는다. 심층부에서 생성되는 지구라트 포탈을 이용하거나, 아니면 이 아이템을 이용해야만 지구라트에 들어갈 수 있다.
지구라트 모형을 쓰지 않고 지니고 있다가 긴급한 상황에 포탈을 열고 지구라트로 탈출하는 활용법도 있다.
0.18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2.5. 환영 거울
당신은 거울로 (몬스터)를 비췄다. 거울이 산산조각났다!
지정한 몬스터를 하나 복제하여 원본의 옆에 소환한다. 플레이어 스스로를 대상으로 지정할 수 없다.
최대 1회 충전된다. MR이 높은 상대일수록 환영의 지속시간이 낮은데, 마법 면역인 상대는 복제해봐야 지속시간이 몇 턴밖에 되지 않는다(최소 6턴). 또한 툴팁에도 나와 있듯 환상은 원본보다 살짝 약하다(원본 개체 HD의 2/3만큼 HD를 갖고 나온다). 레르나와 같이 공격력이 강하고 상대적으로 체력이 낮은 몬스터에게 효과가 좋다.- 0.16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 0.26 버전
- 신이 싫어하는 종류의 몬스터도 복제할 수 있게 되었다.
- 충전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100% 확률로 파괴되는 스택방식이었다.
2.6. 홍수의 물병
수압이 강력한 물줄기를 뿜어낸다. 이 물줄기는 필중하는 냉기 투사체 취급을 받으며, 맞은 적은 넉백당하고 얼음 대미지를 입는다. 맞은 대상 및 주변 적들은 물에 잠김 디버프에 걸린다.
피격 대상이 서있던 위치를 중심으로 5x5칸에 얕은 물 지형을 생성한다. 얕은 물 지형은 잠시 후면 사라진다. 발동술 스킬이 올라가면 물에 잠김 디버프의 지속시간, 대미지, 물 지형의 지속시간이 늘어난다. 발동 레벨이 높다면 아이언샷에 비견될 만한 강력한 냉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얕은 물 지형은 여러 전략적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일단 거인이거나, 숨을 쉬지 않거나, 수중 몬스터가 아닌 이상 얕은 물 타일에 있는 몬스터는 공격을 25% 확률로 실패한다. 또한 이동속도가 30~100% 느려진다. 이를 이용해서 적에게 잠시 디버프를 걸거나, 아니면 도주하는 용도로 사용해볼 수도 있다. 계단, 문, 포탈, 함정이 있는 장소에는 얕은 물 지형이 생성되지않으므로, 중형 이하의 종족이거나 비행 능력이 없다면 계단, 문 위에 서서 사용해서 얕은 물 패널티를 피할 수 있다.
얕은 물 지형은 점착화염을 끄는 데도 쓸 수 있다. 그냥 물에 들어갔다 나오면 된다.
다른 발동템처럼 사용하면 비활성(inert) 상태가 된다. 몬스터를 죽여 일정 경험치를 얻으면 다시 활성 상태로 돌아온다. 툴팁에 나와 있는 대로, 물병을 여러 개 가지고 있어도 하나를 사용하면 모든 물병이 다 비활성 상태가 된다. 때문에 여러 개를 모아두고 번갈아가며 쓰는 식의 사용은 불가능하다.
- 0.13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 0.25 버전에서 리워크되었다. 이전에는 적에게 냉기/넉백 피해를 주고 얕은 물 지형을 만들어내는 것까진 동일했으나, 물에 잠김 디버프가 없었고 물의 정령들을 1~3마리 소환했었다.
파도가 지면에 내려앉았다. 물이 일어나 정령의 형상을 이룬다.
2.7. 진동석의 통
적을 자동으로 추적하여(오토타게팅) 사거리 4 이내에서 5x5 산탄폭발을 일으킨다. 이 폭발은 언제나 목표에서 한 칸 빗나간 위치에서 터진다. 발동술에 비례하여 폭발 횟수와 대미지가 증가한다. 최대 2회까지 충전된다.
- 0.25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 0.26 버전에서 최대 충전량이 3에서 2로 감소하고 1회 충전에 필요한 경험치량이 40% 증가하였다.
2.8. Condenser Vane
이 아이템은 사용 즉시 시야 내의 모든 몹에게 3x3의 구름 설치한다. 이 구름은 플레이어의 위치는 깔리지 않는다. 최대 충전량은 1이다.
- 0.26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3. 삭제된 아이템
버전별로 정렬함.
0.8
-
- 발견의 마법막대(Rod of Discovery) - 과거의 예견술 학파 마법인 숨겨진 문 탐색, 함정 탐색, 아이템 탐색, 마법의 지도 마법을 쓸 수 있었다.
-
- 강타의 마법막대(Rod of Smiting) - 스마이트 마법을 쓸 수 있었다.
-
- 소환의 마법막대(Rod of Summoning) - 소집, 개과 노예 소환, 스웜 소환 마법을 쓸 수 있었다.
-
- 공기 정령의 부채 (Air elemental fan) - 공기의 정령을 소환하는 아이템. 발동술 레벨이 높을 수록 우호적인 상태로 소환된다. 강풍의 부채로 대체되었다.
- 땅 정령의 돌 (Stone of earth elemental) - 사용하면 주변의 돌벽이 파괴되면서 땅의 정령이 소환된다. 지진의 돌로 대체되었다.
- 파괴의 마법막대(불)(Rod of Destruction (fire)) - 불꽃 발사, 화염의 화살, 화염구 마법을 쓸 수 있었다.
- 파괴의 마법막대(얼음)(Rod of Destruction (ice)) - 냉기 발사, 고드름 발사, 냉기 구름 마법을 쓸 수 있었다.
- 파괴의 마법막대(부정확, 마그마, 냉기)(Rod of Destruction (inacc, magma, cold)) - 부정확의 화살, 용암의 화살, 동결의 화살 마법을 쓸 수 있었다.
-
- 병에 담긴 이프리트 (Bottled efreet) - 이프리트를 소환하는 소모형 아이템.
- 악마학의 마법막대(Rod of demonology) - 임프 소환, 송환, 악마 소환 마법을 쓸 수 있었다.
- 화염 파괴의 마법막대(Rod of fiery destruction) - 불꽃 발사, 화염의 화살, 화염구 마법을 쓸 수 있었다.
- 냉기 파괴의 마법막대(Rod of frigid destruction) - 냉기 발사, 고드름 발사, 냉기 구름 마법을 쓸 수 있었다.
- 파괴의 마법막대(Rod of destruction) - 번개의 화살, 강철 화살, 화염구 마법을 쓸 수 있었다.
- 독의 마법막대(Rod of Venom) - 올그렙의 유독성 광휘, 독액의 화살, 독성 구름 마법을 쓸 수 있었다.
- 결계의 마법막대(Rod of warding) - 송환, 응결의 방패, 공포, 투사체 반사 마법을 쓸 수 있었다.
-
- 타격의 마법막대(Rod of Striking) - 물리 대미지를 주는 타격 마법을 쓸 수 있었다.
-
- 파괴의 마법막대(Rod of Destruction) - 초반에 주웠다면 무난하게 강력한 적에게 한두방 날려주고 시작하기 좋다. 후반으로 가면 발동술이 어지간히 높지 않는 이상 그냥 때려잡거나 마법을 사용하는 쪽이 더 효율적이고, 후반부의 주적인 언데드와 악마에게 독 볼트나 냉기 볼트는 잉여이기 때문에 버리는 편이 낫다. 랜덤으로 여러 속성이 나가기에 선신이나 디스메노스 신도는 사용할 수 없다.
- 무리의 마법막대(Rod of swarm) - 벌레류 몬스터들을 소환한다. 그림자의 마법 막대와 달리 발동술 레벨에 관계없이 나오는 몬스터가 정해져 있어, 초반엔 매우 유용하지만 중반만 넘어가도 유통기한이 온다. 개미, 킬러비 정도만 나와도 독 저항이 없는 몬스터들에게 쏠쏠한 데미지를 줄 수 있고, 가끔 나오는 말벌류는 슬로우까지 걸어준다.
- 그림자 등불 (Lantern of shadows) - 장비하면 주변이 어둡게 보이고 (Darkness 마법과 같은 효과), 은밀이 강제로 0으로 고정되어 은신에 100% 실패한다. 대신에 일정시간이 지나면 계속해서 우호적인 몬스터 "그림자"가 생성된다. 짐승굴 전에 얻을수 있다면 짐승굴을 가볍게 털수있는 아이템이다.
- 좀의 체스판(Xom's chessboard) : 발동술 효과가 좋을 경우 발동하면 자기 주위의 모든 적들을 재배열한다. 단, 실패할 경우 좀의 징벌 중 하나가 랜덤하게 떨어진다. 좀의 신도의 경우 이 징벌을 피할 수 있다. 단 일정 횟수 이상 사용할 경우 "이놈아 내 체스판 내놔!"를 외치며 좀이 강탈해간다. 0.18 개발 중에 추가되었다가 얼마 안 가 바로 삭제되었다. 사실 삭제된 진짜 이유는 이 체스판를 발동하면 위치가 바뀔 뿐만 아니라 숨겨진 효과로 저항을 무시하는 혼란을 광역으로 걸어버린다는 데에 있었다. 이것이 너무 사기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은 결과.
-
- 지진의 돌 (Stone of tremor) : 사용하면 주변의 돌벽이 파괴된다.
-
- 폭풍의 원반 (Disc of storms) : 사용하면 번개가 무작위로 발사되는 아이템. 특이하게 전기 저항이 있으면 사용에 패널티가 붙었다.
- 부정확의 마법막대(Rod of inaccuracy) - 명중률이 낮지만 강력한 투사체가 나갔다.
- 점화의 마법막대(Rod of ignition) - 화염 계열 공격이 나갔다.
- 그림자의 마법막대(Rod of shadows) - 몬스터를 소환하였다.
- 강철의 마법막대(Iron rod) - 산탄의 마법봉으로 대체.
- 구름의 마법막대(Rod of clouds) - 구름의 마법봉으로 대체.
-
- 에너지 수정구(Crystal ball of energy)
하지만 장점이 확실한 만큼 부작용도 확실하다. 발동술이 27레벨 만빵이라도 실패 확률이 10% 정도나 된다. 모든 마나가 흡수당할 확률은 5.5%, 지능 1-3이 일시적으로 감소할 확률이 1%, 11~20 턴 간 혼란에 빠질 확률이 3%. 발동술이 낮다면 부작용 발생확률은 이것보다 높아진다. 사용하려면 최소한 발동술을 2레벨 이상은 찍어줘야 한다. 발동술이 10만 되어도 80%대의 성공률이 나오지만, 리치 폼에선 명석함 옵션이 없다면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거기다 MP가 어느 이상 낮아지면 발동에 실패할 확률이 증폭된다. 발동술 레벨이 몇이든 간에 '''MP가 0이라면 발동은 거의 무조건 실패'''한다고 봐야 한다. MP 양이 정도 이하로 떨어지면 성공확률이 곤두박질친다는 특징 때문에, 수정구를 사용하려면 MP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만약 수정구 하나에만 회복을 의존한다면 수정구 사용 실패 효과로 MP가 0이 되었을 경우 위험을 극복할 수단이 아예 없어진다.
수정구를 안정적으로 사용하려면 반드시 부작용에 대비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추고 다녀야 한다.
- 마력이 오링나는 것에 대비하여 에너지 지팡이를 하나 들고 다니는 것도 좋다. MP를 조금 회복하여 수정구를 안정적으로 쓸 수 있게 MP를 회복하는 용도로.
- 명석함(Clarity) 옵션이 있다면 혼란 효과를 완벽히 무효화시킬 수 있지만 아셴자리 신도가 아닌 이상 명석함 옵션을 구비하기는 힘들다. 치료 물약으로 때우는 방법도 있지만 물약은 소모품이고 수량이 한정되어 있다. 게다가 리치폼상태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 지능 감소는 상대적으로 감수하기 편한 부작용이다. 깎인 능력치는 적을 죽여 경험치를 얻으면 빠르게 복구된다.
- 돌풍의 부채(Fan of gales)
돌풍을 일으켜 주위 몬스터를 넉백시킨다. 발동술 레벨이 높을수록 몬스터를 더 멀리 날려보낸다. 27레벨이면 모세의 기적이 펼쳐진다. 주로 위급상황에서 적을 떨쳐내는 용도로 사용한다.부채를 젓자 강력한 돌풍이 휘몰아쳤다!
적을 넉백시키는 용도뿐만이 아니라, 각종 구름을 치워버릴 수도 있다. 혼란구름이나 부패구름, 음에너지 구름, 번개 구름 등등 종류는 상관없다. 구름 앞에서 사용하면 구름이 바람 때문에 옆 타일로 퍼진다. 구름의 마법봉과 조합하면 재밌는 전략을 시도해볼 수 있다.
사용하면 비활성(inert) 상태가 된다. 몬스터를 죽여 일정 경험치를 얻으면 다시 활성 상태로 돌아온다. 툴팁에 나와 있는 대로, 부채를 여러 개 가지고 있어도 하나를 사용하면 모든 부채가 다 비활성 상태가 된다. 때문에 여러 개를 쟁여놓고 연속으로 쓰거나 저장해두는 식의 사용은 불가능하다.
0.13 버전에서 공기의 정령의 부채를 대신하여 추가되었다.
- 화염 램프(Lamp of fire)
화력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스마이트 공격과 비슷하게, 멀리 떨어진 몹을 요격하는 용도로 쓸 수 있다. 유일한 단점은 정확한 조준이 불가능하다는 것. 지정한 방향에 정확히 불길이 뻗어져 나가는 게 아니라, 그냥 비슷한 방향으로 중구난방하게 발사될 뿐이다. 그러나 해당 단점도 일자통로에서 사용하면 없는 단점이 되며, 이때 매우 유용하다.
사용하면 비활성(inert) 상태가 된다. 몬스터를 죽여 일정 경험치를 얻으면 다시 활성 상태로 돌아온다. 툴팁에 나와 있는 대로, 램프를 여러 개 가지고 있어도 하나를 사용하면 모든 램프가 다 비활성 상태가 된다. 때문에 여러 개를 모아두고 번갈아가며 쓰는 식의 사용은 불가능하다.
0.9 버전 이전에는 감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불타오르는 램프’로 표시되었다.
0.13 버전 이전에는 화염 구름이나 용암 타일을 생성하면서 불의 정령을 한 마리 소환하는 효과였다.
- 거미 자루(Sack of spiders)
발동하면 거미굴에서 나오는 몬스터들이 줄줄이 쏟아져 나온다. 또한 발동에 성공할 경우 확률적으로 몬스터 위치에 거미줄 함정을 설치한다. 발동술 레벨이 높아질수록 소환하는 거미 수가 많아지고, 더 강력한 몬스터들을 소환한다. 소환은 발동술 만레벨 기준으로 수십 턴 정도 지속된다. 발동술 레벨에 상관없이 발동 성공률은 '''80%로 고정'''되어 있다. 자루는 사용 시마다 33% 확률로 파괴된다.자루 안에 손을 넣었다…… 무언가가 굴러나왔다!
Learndb에서는 거미주머니를 ‘아마 이 게임 최고의 아이템’이라 칭했다. 그 말 그대로, 거미 주머니는 이 게임 최고의 아이템이다. 발동술 레벨이 높다면, 거미자루 몇 번으로 판데 보스도 녹여버릴 수 있다. 15렙 발동술 기준 거미주머니 두세번이면 그 악명높은 메나스와 로열젤리도 호구가 된다. 물론 광역기 빵빵한 악마보스 상대론 어림없다.
MR을 무시한 혼란 공격 + 거미줄로 인한 강제 행동봉인 및 암습 + 유령 나방으로 인한 마법봉인 = 사기.
발동템 특유의 유통기한 같은 것도 없고 오히려 후반일수록 쓸만해진다. 저 디버프는 판데나 지옥 보스에게도 그대로 통한다. 각종 보스전이나 네임드전을 날로 먹을 수 있게 해주는 아이템.
그러나 제대로 사용하려면 최소한 14레벨까지는 발동술을 찍어둬야 한다. 이 때를 기점으로 무쓸모 개미가 안 나오기 때문. 초반에 한정한다면야 일개미나 병정개미도 어그로 내지 몸빵 용도로 쓸 수는 있지만, 발동술에 조금만 투자하면 혜자 거미들이 줄줄이 튀어나오기 시작한다. 때문에 발동술 레벨이 낮을 때는 아껴놨다가 스킬이 적정선에 올라가면 그 때부터 써주는 편이 좋다.
소환하는 거미 수는 '''1d3 + 1d(발동술/4) -1'''마리다. 즉 4레벨마다 최대 소환 가능한 수가 한 마리씩 늘어난다. 발동술 4레벨에서 1~3마리, 8레벨에서 1~4마리, 12레벨에서 1~5마리, 16레벨에서 1~6마리, 20레벨에서 1~7마리, 발동술 24레벨 이상일 때는 1~8마리를 소환한다.
발동술 레벨에 따라 나오는 곤충의 분포는 다음과 같다.
주변 몹을 거미줄에 걸리게 하는 효과를 이용해 암습도 가능하다. 거미줄에 갇힌 적은 빠져나오기 전까지 이동/공격이 봉인당한다. 거기다 이 거미줄은 마법 면역인 상대에게도 걸리며, '''투척용 그물과 다르게 초대형 몬스터도 포박할 수 있다.'''[6] 다만 이 거미줄은 함정 취급이기 때문에 물, 열린 문, 계단과 게이트, 상점 등 함정이 설치될 수 없는 장소에는 설치되지 않으므로 주의할 것. 또한, 거미굴의 영구 유지되는 거미줄과는 다르게 이 거미줄 타일 위에서 적이 죽을 경우[7] 거미줄 함정은 즉시 파괴된다. 적이 거미줄을 회피한 상태에서 자리를 이동하면, 그 자리의 거미줄은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거미줄 함정이 설치될 확률: (100 - 거리 팩터 - 스킬 팩터)%
거리 팩터: 100 * (적과의 거리[8] - 1) / 5.5[9]
스킬 팩터: 2 * (27 - 발동술)
거미줄 함정 설치 판정에 성공했다고 다 끝난 것이 아니다.
몬스터가 거미줄 함정에 포박될 확률은 대상의 EV와는 무관하고 독자적인 확률 계산을 따른다.[10] 33% 확률로 포박은 실패한다.
동시에, 해당 서브 던전의 토박이(Native)[11] 이면서 인간 이상의 지능을 가진 몬스터는 포박 실패 판정을 한 번 더 한다. 두번째 판정에서 포박은 50% 확률로 실패한다.
예를 들어, 일반 던전에서 오크를 거미줄 함정에 빠뜨린다면 오크는 33% 확률로 함정을 회피한다. 하지만 오크 광산에서 똑같은 시도를 하면, 오크는 토박이 버프를 받아 1차 회피 판정이 실패했을 때 50% 확률의 2차 회피 판정을 한다.
일반 던전, 짐승굴, 뎁스, 판데모니움, 지옥에는 토박이가 존재하지 않는다.
0.13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0.15 버전에서는 적이 아니라 주변 아무 곳에나 랜덤하게 거미줄을 뿌렸다.
[1] 발동술 + 1d7 - 1d7 (추정)[2] 라이쥬처럼 불규칙하게 순간이동하면서 번개의 화살을 쏜다.[3] 조준 시 노란색으로 표시된다.[4] 언데드는 숨을 쉬지 않으며, 악마는 손짓으로 마법을 쓰기 때문에 주문 사용을 막을 수 없다.[5] 즉, 대상에게 불길이 명중할 경우, 대상은 피격 대미지 + 구름 대미지로 대미지를 2번 받는다.[6] 유령처럼 실체가 없는 존재, 슬라임처럼 형체가 유동적인 존재들은 그물과 동일하게 포박에 면역이다.[7] 거미줄에 걸린 상태이든, 걸리지 않은 상태이든 상관 없음.[8] 예를 들어 바로 옆에 박쥐가 있다면 박쥐와의 거리 차이는 1이다.[9] 기본 시야가 7인 일반적인 종족 기준. 기본 시야가 8인 바라킴이나 나이트스토커 변이가 생긴 데몬스폰은 이 값이 다르다.[10] 설사 몬스터가 수면이나 마비에 걸려 EV가 0이 되어도 거미줄에 걸릴 확률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11] 예를 들어 오크 광산의 오크, 엘프방의 엘프, 뱀굴의 나가, 조트 렐름에 거주하는 인간 이상의 지능을 가진 존재들